K패스 (대중교통통합권)_2024

클릭 후 더 보기클릭 후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
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🙏🏻
1

K패스

교통비가 늘어나면서 고정비도 상승되는데요~ 대중교통비(지하철, 버스)을 절감할 수 있는 ‘K패스‘에 대해 포스팅 해볼께요

K패스란?

K패스는 정부에서 시민들의 교통비 절감을 위해

최대 이용횟수 15회이상,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지출금액의 일정비 20%~53%를 적립하여 다음달에 돌려 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.

ex) 성인기준 216,000원인 대중교통비 20%

K패스 신청방법

✔신규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(korea-pass.kr)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
(신한, 우리, 농협, KB국민, 현대, 삼성, 하나, BC, 티머니, 이동의즐거움, DGB유페이)

✔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이용자들는 K-패스로의 회원 전환 절차를 걸쳐 별도의 카드로 재발급 없이 기존 알뜰카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(알뜰교통카드 어플을 통해 이용약관 및 회원전환 등 동의절차 진행)

✔이동거리 무관이며 최소 이용횟수 월 15회이며, 지원한도는 월 60회 입니다.

일반연 최대 170,000원
청년연 최대 250,000원
저소득층연 최대 440,000원

K패스 사용방법

  1. 원하는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를 신청 및 수령 받습니다.
  2. K패스 홈페이지 https://korea-pass.kr/ 에 접속합니다
  3. 회원가입을 합니다.
    •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 입력 후 [유효성체크] 클릭 합니다.
    •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 합니다
      (PASS앱 또는 문자인증)
    • 주민등록번호(외국인등록번호)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 합니다.
    •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됩니다.

K패스 적용대상 및 지역

  • 버스, 지하철 뿐만 아니라 GTX, 신분당선 및 광역버스가 적용됩니다.
  • 서울에만 한정되지 않으며,사실상 전국 전역에서 이용가능합니다.

K패스 지원 혜택

구분적립률예시 1,500원
(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기준)
예시 2,000원
(최소 금액)
예시 3,000원
(최대 상한금액 시행전까지 검토 확정)
일반20%300원(14,000원)400원(24,000원)600원(36,000원)
청년30%450원(21,000원)600원(36,000원)900원(54,000원)
저소득층53.3%800원(37,000원)1,070원(64,200원)1600원(96,000원)

📌관련 글 더 보기 📌

맺음말

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한 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민간 카드사가 교통비의 약 10%를 추가 할인 해주는 서비스지만, 애플리케이션에 출발지부터 승차점까지 거리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동 거리가 확인 되지 않아 최소 마일리지인 50원만 적립되어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교통취약계층인 과 노인층 이용이 저조하다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추진 되었습니다.

고물가 시대에 최근 서울시 버스요금이 인상되었다는 소식으로 슬프지만, 대중교통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교통비 환급이라는 제도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
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?

평점을 매겨주세요

평균 평 0 / 5. 투표수 0

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.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

Leave a Comment

error: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 !!